[필독추천/중요] 탐구보고서가 왜 중요한지 깨닫게 해주마 !

프로필

2017. 7. 3. 2:54

이웃추가
강남 대치동 소재 고등학교에서
2017학년도 명문대에 합격한 학생들을
분석해보면 공통점들이 보입니다. 뭐가 보이시나요?

그렇습니다. 문과였든, 이과였든, 그리고 학종이든, 특기자 전형이든 간에 교과 성적 외 활동에서 뚜렷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1. 연구 탐구 능력
2. 영어 실력
3. 독서력
그리고 모든 것을 꿰 뚫는
'전공에 관한 일관적 태도'였습니다.

대학이 원하는 '학업역량'은 단지 시험 성적이 좋은 것이 아닙니다. 학종에서는 평균성적을 보지 않습니다. 평가기준이 자기주도적 전공적합성이기 때문입니다. 그 평가기준으로 ① 학업역량 ② 활동역량 ③ 개인(인성)역량 ④ 미래역량 이라는 요소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A학생과 B학생 가운데 한 명만 뽑는다면
누가 합격할까요?

당연히 A학생이라구요? 그럼 질문 하나만 더 하겠습니다.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부는 어떤 학생을 뽑나요?
① 농구잘하는 학생         ② 전교 1등
③ 노래 잘 부르는 학생    ④ 아이스하키 잘 하는 학생

그렇죠. 아이스하키 잘 하는 학생을 뽑겠죠.
그렇다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8과는 어떤 사람을 뽑을까요? 당연히 정치 잘하고, 외교 잘하는 사람을 뽑는다구요? 아니죠. 그 동안은 시험 잘 보는 사람을 뽑았었죠.

아나운서가 미분 적분을 잘해야 하는가요? 대학교 가서도 플래너와 오답노트 만들어서 정답 달달달 외울건가요? 과거 서울대 법대 풍경.

서울대 법대 학장이 우병우 전 민정수석에게 (누군지 알죠? 이 분. 법꾸라지 - 아들이 코너링 잘해서 높은 분 운전병되신 바로 그 분)

"자네는 왜 검사가 되려 하는가?"라고 물었더니 "대한민국에 부정부패를 뿌리뽑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라고 했다죠.

그렇습니다. 시험으로는 한 사람의 모든 것을 알 수 없습니다.시험성적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왜 그 활동을 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꿈을 위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지적호기심으로 성장한 것인지' 동기와 과정을 평가합니다. 하나의 활동이라는 창을 통해서 다른 활동에서 보여질 그의 미래의 가능성, 즉 학문적 전이(轉移)를 평가합니다.

폭넓게 알되, 자신의 전공분야는 깊이 아는 인재. 2015개정교육과정의 목표인 '융합'과 '진로'를 만족하는 미래의 인재상입니다. 

지금의 학생들은 이제 150년이라는 세월을(안 죽는다는 설도!) 인류 최초로  수억개의 자료- 빅데이터를 순식간에 읽어 내는 AI, 로봇과 싸워야 하는 세대입니다. 이 세대에 무슨 4지선다 암기가 필요하겠습니까? 불도저 앞에서 삽질하는 것이겠죠.

답이 없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능력. 결론보다 그 결론을 추론해 낼 수 있는 창의사고력. 알파고는 인간에게 바둑을 이기겠지만, 결코 인간이 왜 바둑을 두는지는 알 수 없을 것입니다. '호모사피엔스 - 생각하는 인간'의 능력이 우리 아들 세대가 지녀야 할 능력일 것입니다.

이제 대학에서는 우리 사회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뽑습니다. 그 인재는 바로 자신이 잘하고 좋아하는 분야에서 끊임없는 지적호기심과 노력으로 성취를 이룬 사람입니다. 그래서 그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는 T자형 인재입니다.

이미 모든 것을 이룬 '용'이 아니라
'용'이 될 '이무기'를 뽑습니다.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이 있는
인재를 선발합니다. 그 가능성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보입니다.
'과정'은 바로 '스토리'입니다.
어떤 성취를 이룬 '스토리'.

그런데 그 '과정'은 꼭 '동기'가 있어야 합니다. 이유도 없이 길 지나가는 사람 뒤통수를 때리지는 않겠지요. 뭔가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그 책을 읽은 이유는 '교과 단원에서 배우다 궁금증이 생겨 더 알아보고 싶어서'였을 것이고, 더 나아가 '검사'가 되고 싶었던 것은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을 읽거 난 후 이거나, 재판을 보고 난 이후였을 거라는 겁니다.


그 동기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진로 동기'입니다. 왜 검사가 되려고 했는지, 왜 뇌과학전문의가 되려고 하는지, 왜 신약개발자가, 왜 인체공학자가 되려고 했는지 서울대는 책 3권에서 그 동기를 찾겠다고 합니다(자기소개서 4번. 책 3권을 고르고 그 선정이유를 써라). 물론 그 동기는 책이 기본이요, 영화, 다큐, 강연, 롤모델 등 다양하겠지요. 그걸 서울대는 '진정성'있는 동기라고 합니다.

전제가 거짓이면 결론은 결코 '참'이 될 수 없습니다. 즉 진정한 동기가 있고 그래서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사람을 뽑는 전형이 바로 '학종'인 것입니다.

두 번째 동기는 '활동 동기'입니다. 왜 그 책을 읽었는지, 왜 동아리를 만들었는지, 왜 그런 주장을 했는지 꼭 밝혀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동기가 만들어 낸 '과정'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3번째는 '지원 동기'입니다.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진로동기와 연장선 상에 있습니다.

여기서 밝히고 가고 싶은 건 자꾸 어느 대학의 '인재상' 운운하는데 어느 대학이든 궁극적인 인재상은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해서 대학을 빛낼 사람'이고 그 방법은 뚜렷한 전공분야에 대한 '지적호기심'과 '학업역량'입니다.

그 동기는 '과정'을 낳습니다.
액션이 있으면 '리액션'이 있는거죠.
우수한 과정은
멋진 '결과'를 만들겠죠.

학종은 상을 탄다거나,
성적이 우수한 것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을 '자기소개서'에서
들어보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그 내용은 '교과세부특기'
'행특'과 , 면접으로 증명되겠죠.

그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지적호기심의 과정을 제일 잘 보여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탐구보고서'입니다. 그런 탐구의 과정은 폭넓고 깊은 '독서'에서 출발합니다. 그 독서는 바로 교과서 단원에서 시작되고, 교과서에서 배우지 않는 과정은 '자율동아리', 그리고 더 깊게 알고자 했던 '지적호기심'의 결과가 바로 '탐구보고서'입니다.

그 내용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꼭 보셔야 합니다. 열정블로그에서 '소논문'이라고 검색하면 보석같은 자료들이 나옵니다. ▼▼▼▼

학생의 수준을 뛰어 넘는 소논문은 대학에서 볼 수도 없고, 평가하지도 않습니다. 자신 스스로 혹은 동아리에서 자신이 흥미있는 분야인데, 교과서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은 주제를 선정해 넓고 깊게 책과 보고서, 각종 자료를 활용해 궁금증을 풀어나가는 과정을 '탐구보고서'로 써보세요. 그리고 그 과정을 육하원칙으로 자세히 꼭 기록해서 학기말에 선생님께 요약해 제출하세요. 그 과정이 원하는 대학과 학과에 합격시켜 줄 것입니다. 그 과정을 기록해 한양대에 합격한 학생사례입니다.


학생들이 쓴 소논문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첨부합니다. 유용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가 더 필요하신 분은 열정밴드에서 챗으로 요청해 주세요. 블로그에서 드리지 못하는 점을 이해해 주세요.

열정스토리
열정스토리 교육·학문

학생부종합전형 수시컨설팅 생기부 학생부 자기주도학습전형 학종 진로진학컨설팅 특목고컨설팅 자사고컨설팅 고입컨설팅 대입컨설팅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비교과 대치동 자소서 팟캐스트 라디오 교육라디오 교육tv 교육팟캐스트 교육강연